초보도 반짝! 코일드 코드 단추 만들기 완벽 가이드

· EmbroideryHoop
초보도 반짝! 코일드 코드 단추 만들기 완벽 가이드
지압 끈(gimp)과 펄 코튼으로 만드는 ‘코일드 코드 단추’의 모든 과정을 초보 눈높이로 풀었습니다. 중심 아이렛을 블랭킷 스티치로 잡고, 스파이럴로 디스크를 확장해 버튼 몰드를 덮은 뒤 뒷면을 단정히 마무리하는 핵심 포인트를 시간대별로 안내합니다. 재료 변형(금속사, 브레이드, 실크 등)과 뒷면 감소 스티치 요령까지 한눈에 정리했어요.

교육 목적의 해설만을 제공합니다. 이 페이지는 원 저작물에 대한 학습용 노트이자 해설입니다. 모든 권리는 원 저작자에게 있으며, 재업로드·재배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원본 영상은 제작자의 채널에서 시청해 주세요. 더 많은 튜토리얼을 위해 구독으로 응원해 주시면, 한 번의 클릭이 더 명확한 단계별 데모, 더 나은 카메라 앵글, 실제 테스트 제작에 도움이 됩니다. 아래 «구독» 버튼을 눌러 응원해 주세요.

당신이 원 저작자이고 이 요약의 내용 수정·출처 추가·일부 삭제를 원하신다면, 사이트의 문의 양식을 통해 연락해 주세요. 신속히 답변드리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코일드 코드 단추 소개
  2. 준비물과 도구
  3. 만드는 순서: 한 장의 디스크로 완성하기
  4. 완성도를 높이는 팁
  5. 창의적 변형과 응용 아이디어
  6. 마무리

영상 보기: Easy Coiled Cord Buttons Tutorial — GINA-B SILKWORKS

단추 하나로 작품의 분위기가 달라집니다. 이 영상은 김프(gimp) 끈과 펄 코튼만으로 우아한 코일드 코드 단추를 만드는 가장 쉬운 길을 보여줘요. 중심의 작은 아이렛부터 버튼 몰드를 감싸는 마감까지, 손끝의 리듬을 따라가 볼까요?

Two finished oval coiled cord buttons, one blue and one yellow, resting on a wooden surface.
The video introduces the final product: two beautifully crafted oval coiled cord buttons, showcasing the delicate spiraled pattern achieved through the technique.

무엇을 배울까요

  • 김프 끈과 펄 코튼으로 중심 아이렛을 만들고 스파이럴로 확장하는 방법
  • 블랭킷 스티치의 능선을 활용해 패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요령
  • 버튼 몰드 앞·옆·뒤를 커버하는 단계별 접근과 뒤쪽 감소 스티치 기법
  • 재료 변주(브레이드, 꼬임 끈, 금속사, 매우 가는 실)로 분위기 바꾸기
  • 깔끔한 뒷마감과 장식용 샹크(고리) 아이디어

코일드 코드 단추 소개 코일드 코드 단추는 ‘코일’된 끈의 구조와 블랭킷 스티치가 만들어내는 리듬으로 완성됩니다. 중심에 작은 구멍(아이렛)을 두고, 바깥으로 나선형을 키워가며 디스크를 만들죠. 이 디스크가 버튼 몰드의 앞면을 덮으면, 옆면을 타고 넘어 뒷면에서 단단히 죕니다.

이 기법의 장점은 변주에 강하다는 것. 김프 끈이 단단하든 부드럽든, 브레이드나 꼬임 끈을 쓰든, 색이 달라져도 멋스럽습니다. 같은 김프라도 실 굵기와 색을 바꾸면 완전히 다른 표정이 나와요.

Key materials for button making: a length of gimp thread, an oval button mold, and a spool of perle cotton thread.
The essential materials for crafting the button are laid out: a flexible gimp thread, a brown oval button mold, and a spool of yellow perle cotton, size 8.

준비물과 도구 필수 준비물

  • 김프(gimp) 끈
  • 펄 코튼 8번 굵기
  • 버튼 몰드(원판형·타원형 등)
  • 바늘(탭스트리 바늘 권장, 영상에서는 길이가 긴 훅 니들 사용)
  • 가위, 필요시 소량의 접착제, 임시 고정용 테이프

김프 끈 이해하기 김프는 여러 가닥의 코어 위에 매우 가는 실이 직각으로 래핑된 구조예요. 단단한 타입은 화면상 보기 좋고 작업 중 형태를 강하게 잡아줘서 초보에게 유리합니다. 부드러운 타입은 코일 말기가 쉽지만 스티치가 밀려날 수 있어요.

Hands holding a segment of gimp thread, bending it to demonstrate its stiffness and formability.
The presenter demonstrates the stiffness of the gimp cord by bending it, highlighting its structured nature which is helpful for button construction.

김프를 살짝 풀어보면 내부의 코어 실과 바깥 래핑 구조가 보입니다. 어떤 김프는 미세한 금사 래핑이 섞여 반짝이는 효과를 줍니다. 직접 실을 팽팽히 당겨 손으로 감아 비슷한 끈을 만들 수도 있고, 브레이드나 일반 꼬임 끈, 심지어 두 겹 실로도 작은 샘플을 만들 수 있어요.

Close-up of hands unraveling a gimp thread to reveal its inner core of multiple threads and an outer wrapping.
To explain the gimp thread's composition, the presenter unravels a piece, exposing the central core threads and the tightly wrapped fine thread that gives it structure and sparkle.

프로 팁

  • 금속사를 사용할 땐 짧은 길이로 자주 교체하세요. 마찰로 마모되기 쉽습니다.
  • 스레드가 길면 꼬임이 생깁니다. 바늘을 잠시 매달아 비틀림을 풀어주세요.

만드는 순서: 한 장의 디스크로 완성하기 중심 아이렛 만들기

Hands threading a long length of yellow perle cotton onto a hook needle.
The presenter threads a long length of yellow perle cotton onto a hook needle, explaining that a longer needle is often easier for this type of detailed work.

김프 끈을 고리로 말아 두 가닥이 바짝 맞닿게 둡니다. 펄 코튼을 긴 길이로 꿰되, 실제로는 무딘 바늘이 손에 편합니다. 영상에서는 길이가 긴 훅 니들을 사용했어요. 이때 작업을 잡기 편하도록 김프의 여분 꼬리를 약간 남겨 둡니다. 자석 자수틀

두 가닥 김프를 포개듯 쥐고, 블랭킷 스티치로 두 가닥을 붙여 고정합니다. 이때 블랭킷 스티치의 ‘능선’이 코일 상단에 놓이도록 방향을 잡아야 해요. 느슨해졌다면 초기에 살짝 조여도 괜찮습니다. 중앙에 작은 구멍이 생기도록 촘촘히 돌며 이어 붙이면 안정적인 아이렛이 만들어집니다.

Hands looping the gimp thread to form the initial center coil of the button.
The process begins by looping the gimp thread tightly to create the foundation of the button's central coil, ensuring two pieces are close together.

간단 체크

  • 두 가닥 김프가 서로 밀착되어 있나요?
  • 블랭킷 스티치 능선이 위로 가지런한가요?
  • 중앙 구멍이 작고 단정한가요?
  • 장력은 일정한가요?

주의

  • 김프가 스티치 전에 헐거워지면 형태가 흐트러집니다.

- 너무 긴 실은 꼬임을 부릅니다. 중간중간 바늘을 아래로 늘어뜨려 꼬임을 빼세요.

Close-up of hands beginning to work blanket stitches around the two looped gimp threads.
The presenter starts working blanket stitches around the two gimp threads, catching them together to secure the initial coil and form the button's eyelet.

한 바퀴를 완전히 덮고 만나는 지점까지 블랭킷 스티치를 이어가면 중심 아이렛이 완성됩니다. 이 작은 원이 버튼의 기준점이자 전체 스파이럴의 출발점이에요.

A completed small, tight eyelet formed by blanket stitches on the gimp thread, marking the center of the button.
The first stage is complete with a neat, small eyelet formed by the blanket stitches, which will serve as the precise center of the button's design.

버튼 앞면 덮기: 스파이럴 확장

Hands continuing to work blanket stitches in a spiral pattern, catching the ridge of previous stitches and allowing a thin line of gimp to show.
The spiraling motion continues as blanket stitches are carefully worked, catching the previous ridge and intentionally leaving a visible line of gimp thread to create the signature coiled look.

이제 중심 아이렛에서 바깥쪽으로 스파이럴을 키웁니다. 완전히 덮기보다 ‘이전 라운드의 능선’을 바늘로 통과해 새 블랭킷 스티치를 만들고, 두 줄 사이에 김프가 가느다랗게 드러나도록 유지하세요. 이 얇은 김프 라인이 코일드 버튼 특유의 표정입니다. magnetic 프레임

김프가 단단하면 원하는 방향으로 말아 넣는 ‘강제’가 필요하지만, 그만큼 스티치가 제자리에서 잘 버팁니다. 반대로 부드러운 끈은 말기 쉬운 대신 스티치가 밀릴 수 있어요. 어느 쪽이든 장점과 단점이 있으니 손에 맞게 선택하세요.

버튼은 항상 평평하게 유지합니다. 새 코일이 이전 코일에 바싹 붙도록 눌러주고, 둘레가 커질수록 간격이 벌어지는 지점엔 스티치를 하나 더 넣어 균형을 맞춥니다.

Hands using small scissors to trim the initial excess gimp thread from the center of the button.
To manage the bulk and ease handling, the central excess gimp thread is carefully trimmed with scissors, though it's advised to secure it with glue first for certain materials.

간단 체크

  • 스파이럴 패턴이 일정한가요?
  • 각 라운드에서 드러나는 김프의 폭이 비슷한가요?
  • 표면 디스크가 평평하게 유지되나요?

- 버튼 몰드에 대보면 앞면을 거의 덮을 만큼 커졌나요?

The coiled button face showing several completed rows of blanket stitches spiraling outwards, maintaining a flat disc shape.
Multiple rows of blanket stitches now visibly expand the coiled design, showing steady progress in creating a flat disc to eventually cover the button mold's face.

프로 팁

  • 가운데 남겨둔 김프 꼬리가 방해되기 시작하면 자르기 전에 끝부분에 소량의 접착제를 발라 올 풀림을 막으세요.

옆·뒷면 전환: 버튼 몰드 감싸기

Hands positioning the unfinished coiled work over an oval button mold, aligning the edges.
The coiled thread work is carefully positioned over the oval button mold, aligning the edges, which marks the transition from flat coiling to covering the three-dimensional button form.

앞면이 충분히 커졌다면 버튼 몰드 위에 디스크를 올려 가장자리를 맞춥니다. 이제 남은 김프를 몰드의 모서리를 넘어 뒷면으로 보냅니다. 여분 김프는 뒤에서 비틀어 정리하거나, 처음 한두 바퀴는 테이프로 임시 고정해도 좋습니다. mighty hoop

작업 중 실이 짧아지면 뒷면에서 새 실을 이어 묶고, 몰드 둘레를 따라 ‘블랭킷 스티치만’ 여러 줄 돌려 뒷면을 감싸 주세요. 이 단계부턴 작업물을 뒤집어 뒷면을 보며 진행하면 장력이 잘 걸리고 몰드에 딱 달라붙습니다. 엄지로 김프를 눌러 당김을 유지하면 옆선이 매끈해져요.

Hands beginning to work blanket stitches around the edge of the button mold, securing the gimp cord to the back.
The presenter starts working blanket stitches directly around the edge of the button mold, securing the gimp and beginning to pull the decorative thread to the back.

주의

  • 몰드에 걸치기 전에 김프를 자르면 미끄러질 수 있어요. 최소 두세 줄 덮은 뒤 과감히 정리하세요.
  • 금속사는 마찰에 약합니다. 짧게 끊어 자주 바꾸세요.

뒷면 고정과 마감

Hands working blanket stitches on the back side of the button, showing how the gimp is being wrapped and secured.
With the button mold turned, the presenter works blanket stitches across the back, showing how the gimp cord is held and covered to tighten the overall structure.

뒷면이 어느 정도 덮이면 남은 김프를 잘라 정리하고, 중앙 구멍을 줄이기 위해 감소 스티치를 섞습니다. 방법은 두 가지: 한 루프를 건너뛰고 다음 루프에 스티치하거나, 한 칸은 걸지 않고 통과한 뒤 다음 루프에 스티치하는 방식. 둘 다 구멍을 매끈하게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mighty hoops

감소를 섞어 한 줄씩 좁혀가다 마지막에는 블랭킷 스티치 대신 루프들 사이로 ‘왕복 짜깁기’하듯 통과시키고, 한 번에 쭉 당겨 조여 주면 뒷면 중앙이 깔끔히 닫힙니다. 마지막 매듭을 지어 고정하면 구조가 단단해지고, 앞면 장식도 팽팽하게 유지돼요.

Hands performing a decrease stitch on the back of the button, skipping a loop to progressively close the opening.
To close the back neatly, a decrease stitch is demonstrated by skipping a loop and working into the next, which helps to gradually tighten the opening.

간단 체크

  • 버튼 몰드가 전면·측면·후면에서 모두 단단히 감싸졌나요?
  • 뒷면 중앙 구멍이 매끈하게 닫혔나요?
  • 앞면 스파이럴이 탱글하고 모양이 유지되나요?

완성도를 높이는 팁 장력 유지

  • 코일을 늘 평평하게, 새 라운드는 이전 라운드에 붙여서.
  • 스티치가 꼬부라지면 바늘을 매달아 비틀림을 제거하세요.
  • 가장자리에서 뒷면으로 넘어갈 때 엄지로 김프를 눌러 텐션을 유지하면 옆선이 퍼지지 않습니다. embroidery 자석 자수틀

문제 해결

  • 표면이 울퉁불퉁: 스티치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정해 여유가 생기는 지점에 ‘추가 스티치’를 넣어 평면을 회복하세요.
  • 김프가 풀린다: 끝부분에 소량의 접착제를 도포한 뒤 자르세요.
  • 스티치가 너무 촘촘해진다: 뒷면에선 감소 스티치(건너뛰기/통과 후 다음 루프)를 섞어 밀도를 조절하세요.

창의적 변형과 응용 아이디어 실과 색의 실험 같은 김프라도 펄 코튼 색을 바꾸면 완전히 다른 결과가 나옵니다. 매끈한 김프에 금속사를 더하면 화사한 광택이 살아나고, 매우 가는 실을 쓰면 섬세한 질감(영상에서 “오르노 효과”라고 언급)이 드러나요. 코일의 노출 폭을 넓히거나 좁혀도 표정이 바뀝니다. snap hoop monster

재료 대체 브레이드, 일반 꼬임 끈, 두 겹 실 등 다양한 끈으로 코일을 시도해도 좋습니다. 몰드는 패딩된 패브릭 버튼, 일반 플라스틱 버튼 등 ‘원판형’이면 거의 무엇이든 적용 가능해요.

프로젝트 확장

  • 액세서리: 댓글에서 제안된 대로 초커 목걸이의 센터피스로 훌륭합니다.
  • 텍스타일 아트: 코일드 바스켓을 연상시키는 미니 오브제로 응용 가능. 제작자도 실크 실+종이 코어 조합을 긍정했어요.
  • 의상 포인트: 코트나 가디건의 포인트 단추로 개성 업. hoopmaster

댓글에서

  • 굵기 선택: 2mm 수제 김프로 시연. 1mm·0.5mm도 가능하나 버튼이 작아지거나 라운드 수가 늘어납니다. 매우 부드러운 순실크 김프는 이 용도에선 비추.
  • 코일드 바스켓과의 닮은꼴: 실크 실+종이 코어도 멋진 버튼이 된다는 제작자 피드백.
  • 목걸이 응용: 초커 아이디어에 제작자가 ‘훌륭한 생각’이라고 답변.

마무리와 손질 앞면을 살짝 문질러 원형(또는 타원형) 실루엣을 정돈합니다. 필요하다면 뒷면에 ‘짜여진 루프 샹크’를 더해 여밈 고리를 형성할 수 있어요. 느슨한 끝실은 모두 잘라 정리합니다. 단추는 이대로 사용하거나, 작품 콘셉트에 맞춰 세트로 제작해도 멋집니다. mighty hoop embroidery

자주 묻는 질문 Q. 김프 끈이 꼭 필요할까요? A. 영상에선 김프를 사용했지만, 브레이드·꼬임 끈·두 겹 실도 가능했습니다. 다만 단단한 끈이 코일 모양을 유지하기 쉬워요.

Q. 버튼 몰드 없이도 만들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다만 튼튼한 버튼을 원한다면 몰드가 작업 속도와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Q. 금속사를 쓰고 싶어요. 주의할 점은? A. 짧은 길이로 자주 교체하세요. 마찰로 마모되기 쉬우니 장력도 과하게 주지 않는 게 좋아요. mighty hoops

체크리스트(요약)

  • 중심 아이렛: 작은 구멍, 고른 능선
  • 스파이럴: 일정한 김프 노출, 평평한 디스크
  • 몰드 덮기: 옆·뒤 텐션 유지, 감소 스티치로 중앙 닫기
  • 마감: 매듭 고정, 끝실 정리, 필요시 샹크 추가 자석 자수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