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도 완성하는 리브 비니: 이지피지 니트 모자 뜨기 가이드

· EmbroideryHoop
초보도 완성하는 리브 비니: 이지피지 니트 모자 뜨기 가이드
초보에게 딱 맞는 컬러 블록 리브 비니를 한 편의 영상으로 완주하세요. 70코 캐스팅온부터 겉뜨기/안뜨기 리듬으로 7인치 브림, 자연스러운 컬러 변경, 단계별 코줄임으로 왕관 모양 만들기, 솔기 잇기와 실 정리까지 깔끔한 완성 비법을 담았습니다.

교육 목적의 해설만을 제공합니다. 이 페이지는 원 저작물에 대한 학습용 노트이자 해설입니다. 모든 권리는 원 저작자에게 있으며, 재업로드·재배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원본 영상은 제작자의 채널에서 시청해 주세요. 더 많은 튜토리얼을 위해 구독으로 응원해 주시면, 한 번의 클릭이 더 명확한 단계별 데모, 더 나은 카메라 앵글, 실제 테스트 제작에 도움이 됩니다. 아래 «구독» 버튼을 눌러 응원해 주세요.

당신이 원 저작자이고 이 요약의 내용 수정·출처 추가·일부 삭제를 원하신다면, 사이트의 문의 양식을 통해 연락해 주세요. 신속히 답변드리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시작하기: Easy Peasy 니트 모자
  2. 기초 마스터: 겉뜨기와 안뜨기
  3. 색 바꾸기로 포인트 더하기
  4. 비니 형태 잡기: 코줄임
  5. 마무리: 모자 솔기와 실 정리
  6. 완성! 스타일링과 관리 팁

영상 보기: Good Housekeeping Stitch Club — “Easy Peasy Knit Hat”

두려움 없이 시작하는 첫 비니. 겉뜨기와 안뜨기만으로, 손끝에서 도톰한 리브 패브릭이 차곡차곡 올라옵니다. 컬러를 바꾸고, 코를 줄이고, 솔기를 잇는 순간까지—이 영상 하나면 충분합니다.

무엇을 배우나요

  • 70코 캐스팅온과 겉뜨기/안뜨기 리듬으로 리브 니팅 만들기
  • 7인치 브림 후 컬러 체인지하는 법과 장력 유지 요령
  • 왕관 모양을 만드는 p2tog, k2tog 코줄임 순서
  • 돗바늘로 윗부분 모아 닫기, 옆선 솔기 잇기, 꼬리실 정리까지 완성 마감

시작하기: Easy Peasy 니트 모자 처음 준비물은 단순합니다. 두 볼의 실(영상에서는 그린과 라일락), 7번(US) 대바늘, 가위 또는 스닙, 돗바늘. 평평하고 깔끔한 작업대 위에서 시작해 보세요.

A woman wearing a color-block knit hat, smiling at the camera.
The final product: a stylish, color-block knit hat with a folded brim, showcasing the rib knit pattern.

프로 팁 - 실 두 볼로 영상과 같은 반전 컬러 두 개를 만들 수 있습니다(키트 기준).

Close-up of Patons Classic Wool Worsted yarn in green and lilac, knitting needles, scissors, and a darning needle on a white surface.
This image shows all the necessary materials and tools: two balls of yarn in distinct colors, a pair of knitting needles, scissors, and a darning needle, organized for the project.
  • 캐스팅온은 너무 조이지 말고, 바늘이 다음 단에 들어갈 여유를 남기세요.

간단 체크

  • 바늘: US 7 사용(영상). 실은 워스티드(채널 코멘트에서 US 8 권장 실 사용 언급). 게이지는 개인차가 있으니 너무 느슨하면 바늘을 한 사이즈 줄여보세요.

참고로, 완성 후 비니는 사용과 착용으로 자연스럽게 늘어납니다. 첫 느낌이 약간 작아 보여도 걱정하지 마세요. 자수틀

기초 마스터: 겉뜨기와 안뜨기 첫 코 만들기와 캐스팅온 미끄럼 매듭을 만들고 바늘에 걸어 시작합니다. 영상에서는 백워드 루프 방식으로 70코를 잡습니다. 단, 너무 조이면 다음 줄이 힘들어집니다.

Hands demonstrating how to create a slip knot with green yarn.
The instructor's hands create a slip knot with the green yarn, the initial step before placing it onto the knitting needle to start the cast-on process.

주의 - 70코가 바늘에 빼곡해 보여도, 니팅을 진행해 바늘에서 내려오면 폭이 충분히 살아납니다.

Close-up of hands casting on stitches using the backward loop method onto a knitting needle with green yarn.
The instructor uses the backward loop method to cast on stitches, looping the green yarn over her thumb and onto the knitting needle, ensuring the stitches are not too tight.

안뜨기(Purl)와 겉뜨기(Knit) 영상은 안뜨기로 시작합니다. 실을 앞쪽에 두고 바늘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넣어 고리를 끌어옵니다. 이어서 겉뜨기는 실을 뒤로 보내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바늘을 넣어 고리를 당겨 만듭니다.

Close-up of hands performing a purl stitch with green yarn, inserting the needle from right to left.
A close-up view of the purl stitch, demonstrating the needle insertion from right to left through the front of the loop, an essential technique for creating ribbed fabric.

리브 패턴 만들기 리브는 2코 안뜨기, 2코 겉뜨기 리듬으로 진행됩니다. 중요한 점: 평편을 앞뒤로 왕복할 때는 2줄 반복을 기억하세요. 1행은 P2 K2로 시작해 P2로 끝나고, 다음 2행은 K2 P2로 시작해 K2로 끝납니다. 이 두 줄을 번갈아야 리브 골이 고르게 살아납니다.

Close-up of hands performing a knit stitch with green yarn, inserting the needle from left to right.
The knit stitch is shown in detail, with the needle inserted from left to right through the front of the loop, wrapping the yarn, and pulling through to form a new stitch.

댓글에서

  • “행 시작을 겉뜨기로 해야 하나요, 안뜨기로 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에, 커뮤니티에서는 “2줄 반복(P2 K2 → K2 P2)으로 번갈아 진행”이라고 정리해 주었습니다.
  • 게이지 관련 질문에는 “실 권장 바늘을 참고하고, 느슨하면 더 작은 바늘로”라는 조언이 있었습니다.

간단 체크

  • 브림을 포함한 그린 색 구간을 7인치까지 뜹니다(영상 안내). 줄 수는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자석 자수틀

색 바꾸기로 포인트 더하기 컬러 체인지 7인치가 되면 작업을 뒤집고 새 색(라일락)으로 바로 뜨기 시작합니다. 새 실은 반드시 ‘작업 중인 끝(working end)’을 잡으세요. 이전 실은 8–10cm 남기고 잘라 꼬리를 살짝 묶어 장력을 안정시킬 수 있습니다.

A completed section of green rib knit fabric on a knitting needle, with a new lilac yarn ready to be introduced.
The first 7-inch section of the hat, knitted in green rib stitch, is complete on the needle, positioned to show how the new lilac yarn will be joined for the next section.

리듬 유지 색이 바뀌어도 리브 리듬은 같습니다. P2 K2 / K2 P2 2줄 반복을 유지해 라일락 구간을 약 4인치까지 뜹니다. 여기서도 행의 앞뒤에 따라 시작 순서가 바뀐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Hands attaching new lilac yarn to the knitting work by looping it onto the needle, while the green yarn is still attached.
The instructor's hands are carefully looping the new lilac yarn onto the knitting needle, demonstrating the technique for seamlessly attaching the second color to the existing green work.

프로 팁

  • 색 교체 직후 첫 코 몇 개는 손가락으로 꼬리를 살짝 고정해 주면 벌어짐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색 전환부는 나중에 안쪽 솔기(브림 속)로 숨길 예정입니다. 재봉·자수 겸용 기계

비니 형태 잡기: 코줄임 첫 번째 줄임(왕관 시작) 리브가 충분히 쌓였다면 왕관부를 만들 차례입니다. 패턴은 “K2, p2tog”를 반복합니다. 이 줄임이 끝나면 바늘 위 코 수는 53개가 됩니다(영상 언급).

Close-up of hands performing a 'purl two together' decrease, inserting the needle through two stitches simultaneously.
This close-up captures the 'purl two together' decrease, where the needle is inserted through two purl stitches at once, reducing the stitch count to begin shaping the hat's crown.

교대 행 4줄 작업을 뒤집어 다음 4줄은 리듬을 바꿔 뜹니다. “P2, K1”과 “K2, P1”을 번갈아 총 4줄. 이 구간이 왕관부의 골격을 부드럽게 이어 줍니다.

두 번째 줄임 이번에는 “k2tog, P1”을 반복하며 더 과감히 코를 줄입니다. 단, 마지막 두 코는 함께 뜨지 않고 각각 겉뜨기합니다(영상 지시). 이 줄이 끝나면 코 수는 36개가 됩니다.

Close-up of hands performing a 'knit two together' decrease, inserting the needle through two knit stitches simultaneously.
The instructor demonstrates the 'knit two together' decrease, inserting the needle through two knit stitches simultaneously, a method for further reducing the stitch count to shape the hat.

니트/퍼얼 교대 구간 “P2, (K1, P1) 반복” → 뒤집어서 “K2, (P1, K1) 반복”의 흐름으로 마무리 전 정리하는 구간을 거칩니다(영상 기준).

Detailed close-up of hands performing a 'knit two together' decrease, showing the yarn looping and pulling through two stitches.
A detailed shot of the 'knit two together' decrease, emphasizing the yarn wrapping around the needle and pulling through two stitches, which is vital for the hat's final crown shaping.

마지막 줄임과 왕관 닫기 전 준비 마지막 줄임은 매우 단순합니다. 줄 끝까지 “k2tog”를 반복해 18코만 남깁니다. 다음 줄은 18코 전부 안뜨기하여 안쪽 형태를 정리합니다.

Hands displaying the 'wrong side' (purl bumps) and 'right side' (knit stitches) of the lilac knit fabric.
The instructor clearly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wrong side,' which features prominent purl bumps, and the 'right side,' displaying neat knit stitches, guiding the viewer on fabric orientation.

주의

  • 줄임 동안 실의 앞/뒤 위치를 잘못 두면 불필요한 고리가 생기거나 구멍이 날 수 있습니다. 틀렸다면 해당 부분을 되감아 바로잡으세요. monogram machine

마무리: 모자 솔기와 실 정리 윗부분 모아 닫기 실을 넉넉히 남기고 잘라 돗바늘에 꿰어, 남은 18코를 하나씩 통과시키며 바늘에서 빼냅니다. 꼬리를 바짝 당기면 왕관이 깔끔하게 모입니다.

Hands using a darning needle to thread the yarn tail through the remaining stitches at the top of the hat.
Using a darning needle, the yarn tail is threaded through the remaining stitches at the top of the hat, preparing them to be pulled tight and gathered to close the crown.

옆선 솔기 잇기(백 솔기) 겉면이 위로 오도록 펴 놓고, 양쪽 가장자리의 ‘바(Bar)’를 번갈아 건너가며 지그재그로 꿰멉니다. 당길수록 솔기가 안쪽으로 사라지듯 모아집니다.

Hands demonstrating the zigzag stitch technique to sew the side seam of the hat together.
The instructor's hands perform a zigzag stitch, weaving the darning needle back and forth through the side edges of the hat to create a tight, invisible seam that draws the fabric together.

브림 접고 솔기 마무리 아랫부분 약 3인치를 위로 접어 브림을 만든 뒤, 겉에서 솔기가 보이지 않도록 접힌 상태에서 계속 지그재그로 꿰멉니다. 이 과정 덕분에 브림을 뒤집었을 때 솔기가 거의 드러나지 않습니다.

Hands continuing to sew the side seam through the folded green brim of the hat.
The seaming process continues through the folded green brim of the hat, ensuring that the seam is neatly tucked away and invisible from the outside once the brim is flipped up.

실 정리(Weaving Ends) 색 교체 꼬리실과 마지막 솔기 꼬리실을 돗바늘로 솔기 속에 지그재그로 숨깁니다. 바짝 당긴 뒤 겉면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주의하며 자르면, 실끝은 스티치 속으로 사라집니다.

간단 체크

  • 솔기는 겉면에서 거의 보이지 않아야 합니다.
  • 브림은 평평하고 고르게 접혀야 합니다.

- 모자는 착용하며 서서히 늘어나 편안한 핏이 됩니다.

자수 기계 for beginners

완성! 스타일링과 관리 팁

  • 기본 비니로 두거나, 실로 만든 폼폼/퍼 폼폼을 달아도 좋습니다(영상 언급).
  • 첫 착용 시 타이트해 보여도, 리브 조직 특성상 시간과 사용으로 충분히 늘어납니다.
  • 울 혼방 실이라면 미지근한 물에 손세탁 후 타월로 눌러 물기를 빼고 편평 건조하세요(영상엔 세탁법 미표기—일반적인 권장).

댓글에서

  • 사이즈 문의(아이, 남성, 큰 머리 등)가 많았지만, 영상 내 구체적인 변형 사이즈는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채널 코멘트에서는 “리브가 후한 편이라 원 사이즈에 가깝다”는 답변이 있었습니다.
  • “70코가 맞나요?”라는 질문이 있었고, 영상에서는 70코로 시작합니다.
  • “왜 평바늘로 뜨나요?”라는 의견이 있었지만, 본 영상은 평편 니팅 후 솔기 마감 방식을 다룹니다.

주의

  • 본 튜토리얼은 평바늘 기준이며, 원형 바늘/환 니팅으로 진행할 경우 줄임 위치와 패턴 표기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영상 범위 외). 자석 프레임 for 자수 기계

프로 팁: 니팅 + 머신 자수로 커스터마이즈하기 완성한 비니의 브림 안쪽에 얇은 천 조각을 대고 이니셜을 기계 자수로 넣어 보세요. 원단이 늘어나는 편이라 안정지를 덧대고 낮은 밀도의 디자인을 권장합니다(일반 팁). 작업 시, 자석식 프레임이나 스냅형 자수가 도움이 됩니다. mighty hoop

빠른 문제 해결

  • 첫 줄이 P2로 시작해 P2로 끝난다: 정상입니다. 다음 줄은 K2 P2로 시작해 K2로 끝나는 2줄 반복을 기억하세요.
  • 색이 바뀐 자리 장력이 헐겁다: 이전 색 꼬리와 새 색을 가볍게 묶어 텐션을 유지하고, 첫 몇 코를 안정적으로 떠주세요.
  • 왕관 모양이 뾰족하다: 영상은 평바늘 줄임 기준입니다. 더 둥근 실루엣을 원하면 줄임 간격을 조절하거나 실/바늘 게이지를 점검하세요(영상 외 변형). snap hoop monster

체크리스트(요약)

  • 캐스팅온: 70코, 백워드 루프 메서드
  • 1색(그린) 리브: 총 7인치
  • 컬러 체인지: 행 시작에서 새 실로 바로 뜨기
  • 2색(라일락) 리브: 약 4인치
  • 줄임1: K2, p2tog 반복 → 53코
  • 교대 4줄: P2 K1 / K2 P1 번갈아
  • 줄임2: k2tog, P1 반복(마지막 2코는 각각 겉뜨기) → 36코
  • 마지막 줄임: 전부 k2tog → 18코 → 마지막 줄 안뜨기 18코
  • 왕관 닫기 → 옆선 솔기 → 브림 접고 솔기 → 실 정리

덧붙임: 향후 확장 아이디어

  • 단색으로 뜬 뒤, 브림 밖으로 손자수 러닝 스티치를 넣어도 멋스럽습니다.
  • 키트 없이도 워스티드급 실 1볼로 단색 비니가 가능합니다(채널 코멘트 참고). magnetic 프레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