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트백 안감 넣기와 박스 코너 만들기: Kimberbell 토트 블랭크로 프로처럼 완성하기

· EmbroideryHoop
토트백 안감 넣기와 박스 코너 만들기: Kimberbell 토트 블랭크로 프로처럼 완성하기
Kimberbell의 토트 블랭크로 토트백 안감을 쉽고 빠르게 완성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본문에서는 실제 영상에 기반해 치수 재기와 안감 재단, 옆선 봉제, 2인치 박스 코너 만들기, 안감과 본체 결합, 바닥 뒤집는 구멍 마감, 그리고 상단 장식 스티치까지 모두 다룹니다. 두꺼운 손잡이 구간에서 속도를 줄이는 안전 팁과 초보자가 실수하기 쉬운 포인트 체크리스트도 포함했어요.

교육 목적의 해설만을 제공합니다. 이 페이지는 원 저작물에 대한 학습용 노트이자 해설입니다. 모든 권리는 원 저작자에게 있으며, 재업로드·재배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원본 영상은 제작자의 채널에서 시청해 주세요. 더 많은 튜토리얼을 위해 구독으로 응원해 주시면, 한 번의 클릭이 더 명확한 단계별 데모, 더 나은 카메라 앵글, 실제 테스트 제작에 도움이 됩니다. 아래 «구독» 버튼을 눌러 응원해 주세요.

당신이 원 저작자이고 이 요약의 내용 수정·출처 추가·일부 삭제를 원하신다면, 사이트의 문의 양식을 통해 연락해 주세요. 신속히 답변드리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시작하기: 재료와 치수
  2. 토트백 본체 만들기
  3. 안감 준비하기
  4. 마침 조립: 안감 부착
  5. 그랜드 피니시: 깔끔한 마감
  6. 완성 후 관리와 퍼스널라이징
  7. 댓글에서 배운 포인트

영상 보기: How to Line a Tote Bag — KIMBERBELL

가벼운 토트도 안감 하나로 ‘단단하고 예쁜’ 가방으로 변신합니다. 오늘은 Kimberbell 토트 블랭크에 딱 맞춘 안감 넣기와 2인치 박스 코너로 바닥 볼륨을 살리는 방법을 배워요. 초보도 실전에서 바로 쓸 수 있게, 안전 포인트와 체크리스트까지 담았습니다.

Kimberbell logo and text "How to Line a Tote Bag" on a teal background.
The video opens with the Kimberbell logo and the tutorial title, setting the stage for learning how to line a tote bag.

무엇을 배우나요?

  • 토트 실측으로 안감 치수를 정확히 재단하는 법
  • 옆선 1/4인치 봉제와 박스 코너(2인치) 만들기 핵심 포인트
  • 안감 바닥에 10인치 뒤집는 구멍 남기기와 깔끔한 마감
  • 손잡이 두께 구간 대처법과 상단 장식 탑스티치 변형

시작하기: 재료와 치수 Kimberbell 토트 블랭크는 옆선이 오픈된 독특한 구조로(오버록 처리), 자수·페인팅·퀼팅 등 다양한 커스터마이징을 한 뒤에 접어 봉제하기 좋습니다. 영상에서는 토트의 길이 36인치, 너비 21인치를 재고 같은 치수로 안감 원단을 준비해요.

Two finished lined tote bags, one with floral embroidery and one with quilted bird panels, displayed with books and flowers.
The video showcases two examples of finished lined tote bags, highlighting the aesthetic appeal and structured shape achieved with lining and boxed corners.

패키지를 꺼내면 손잡이가 양쪽 끝에 달린 펼쳐진 상태로 보입니다. 이 형태 덕분에 전면 패널에 장식 작업을 하고 나중에 옆선을 봉제하면 완성도가 높아지죠.

A woman holding a clear plastic package containing a gray Kimberbell tote bag blank.
The instructor introduces the main material, a packaged Kimberbell tote blank, emphasizing its ease of use for creative projects.

프로 팁

  • 치수는 모델·원단 로트에 따라 약간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실측하세요.

- 측정·재단은 평평한 매트 위에서 자·재단칼을 사용하면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A flat, unfolded gray tote bag blank laid out on a black cutting mat with measurement lines.
The tote blank is laid flat on a cutting mat, revealing its initial unfolded state with open side seams and integrated handles.

주의 - 영상에서는 구체적인 실 종류·색은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내 원단과 상의해 컬러 매칭을 추천합니다.

A close-up of the serged side seam of the gray tote bag blank.
A close-up view highlights the serged edge of the tote blank's side seam, a unique feature simplifying assembly and finishing.

측정과 재단 토트를 평평하게 펴서 길이 36인치, 너비 21인치를 확인합니다. 안감 원단도 동일한 36×21인치로 자른 뒤, 세로로 반 접고 접힌 선을 따라 정확히 반으로 컷팅해 18×21인치 두 장을 만듭니다.

Hands using a yellow measuring tape to measure the 36-inch length of the gray tote bag blank.
The instructor measures the length of the tote blank, which is 36 inches, to determine the necessary dimensions for the lining fabric.

빈티지 플로라 패턴 안감은 화사한 대비가 좋아 장식 상단에서 1/4인치 정도 ‘보이는 단’으로도 예쁘게 마무리됩니다.

A vibrant piece of floral lining fabric with butterflies and various flowers laid flat.
The beautiful vintage flora fabric chosen for the lining is showcased, matching the measured dimensions of the tote blank.

간단 체크

  • 36×21인치 실측이 맞는가?

- 18×21인치 두 장이 동일한가? 재단면이 깔끔한가?

Hands using a rotary cutter and ruler to precisely cut the floral lining fabric in half along its fold.
To create the two lining panels, the fabric is folded and then precisely cut in half using a rotary cutter and ruler.

토트백 본체 만들기 먼저 토트를 겉끼리 마주 보게 반으로 접어 손잡이와 옆선을 정확히 맞춥니다. 클립이나 핀으로 고정 후, 양쪽 옆선을 1/4인치 시접으로 곧게 봉제합니다. 이렇게만 해도 토트 형태가 나오지만, 이번에는 수납력을 위해 박스 코너까지 진행합니다.

Hands using a fabric clip to secure the folded gray tote bag blank along its side seam before sewing.
The tote blank is folded with right sides together, and fabric clips are used to hold the side seams in place, ensuring alignment before stitching.

주의

  • 영상 기준 모든 봉제 시접은 1/4인치입니다.

- 바늘이 두꺼운 구간을 지날 때는 속도를 낮추세요.

A sewing machine stitching along the pinned side seam of the gray tote bag blank with a 1/4 inch seam allowance.
The sewing machine is actively stitching a 1/4 inch seam allowance along the side of the tote, joining the fabric panels.

토트 박스 코너 마스터하기 1) 각 하단 모서리를 집어 삼각형이 되도록 펼칩니다. 옆선 시접은 삼각형의 중앙을 곧게 지나야 합니다. 2) 꼭짓점에서 2인치 아래에 자를 대고 수평선을 그립니다. 3) 표시선 위를 봉제하고, 스티치선에서 1/4인치 바깥쪽을 남기고 여분을 잘라 정리합니다.

Hands holding an erasable fabric marker and ruler to draw a 2-inch horizontal line on the pinched corner of the gray tote bag blank.
The corner of the tote is pinched to form a triangle, and a 2-inch line is marked using a ruler and fabric marker to guide the stitching for boxing the corner.

양쪽이 대칭이어야 바닥이 수평으로 서고, 가방이 ‘쭉’ 펴집니다. 박스 코너를 자르기 전, 양쪽 길이가 정확히 같은지 다시 확인하세요.

Hands using a rotary cutter to trim the excess fabric from a sewn, boxed corner of the gray tote bag blank.
After sewing, the excess fabric on the boxed corner of the tote is carefully trimmed with a rotary cutter, maintaining a clean finish.

프로 팁

  • 표시선은 분필/지워지는 펜을 쓰면 마감 후 자국이 남지 않습니다.
  • 재단 칼을 쓸 때는 커팅 매트 위에서 자를 가이드 삼아 직선으로 잘라내세요.

안감 준비하기 앞서 자른 18×21인치 두 장을 겉끼리 맞대어 옆선과 바닥선을 맞춥니다. 이때 바닥 중앙에는 약 10인치 뒤집는 구멍을 남길 위치를 표시해 두세요. 옆선 전체와 바닥의 구멍 제외 구간을 1/4인치로 봉제합니다.

A sewing machine creating a seam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floral lining fabric, leaving an unsewn opening.
The sewing machine stitches the bottom of the lining, intentionally leaving an approximate 10-inch opening that will later be used to turn the bag right side out.

간단 체크

  • 바닥의 10인치 구멍이 실제로 비어 있는가?
  • 옆선은 곧게, 시접 일정하게 봉제되었는가?

안감 박스 코너 겉감에서 했던 것과 동일하게 안감 하단 모서리도 삼각으로 펼친 뒤, 꼭짓점에서 2인치 지점에 수평선을 그려 봉제합니다. 스티치선에서 1/4인치 여유를 남기고 잘라 마감하세요. 이렇게 해야 안감과 겉감의 바닥 폭이 정확히 일치합니다.

프로 팁

  • 겉감과 안감의 2인치 기준은 반드시 동일해야 합니다. 그래야 상단 결합 시 당김 없이 맞습니다.

마침 조립: 안감 부착 핵심은 손잡이를 ‘바깥쪽으로 눕혀 클립으로 고정’해 재봉 중 끼이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토트(겉감)는 겉면이 바깥으로 나온 상태에서, 안감은 뒤집지 않고 그대로 둔 채 겉감 토트를 안감 속으로 쏙 넣습니다. 옆선과 옆선을 포개어 맞춘 뒤, 상단 둘레 전체를 클립으로 촘촘히 고정합니다.

Hands using a fabric clip to secure a gray tote handle down against the outside of the bag, preventing it from being sewn into the lining.
To ensure the handles are not accidentally caught in the top seam when attaching the lining, they are clipped down against the exterior of the tote bag.

주의

  • 손잡이는 확실히 눕혀 클립으로 고정합니다. 빠져나오면 두꺼운 부위가 바늘을 무리시킬 수 있습니다.

- 두꺼운 구간은 재봉기 속도를 낮추고, 필요하면 워킹 푸트를 고려하세요(영상에서도 권장).

Hands securing the top edge where the tote and floral lining fabrics meet, using a fabric clip, ensuring the handle is safely tucked in.
With the tote inside the lining, the top edges are aligned and secured with clips all around, ready for the final seam that joins them, while ensuring the handles are tucked away.

상단 둘레를 1/4인치 시접으로 한 바퀴 봉제해 겉감과 안감을 연결합니다. 봉제선이 일정한지, 손잡이가 끼지 않았는지 수시로 확인하세요.

그랜드 피니시: 깔끔한 마감 이제 거의 끝입니다. 안감 바닥의 10인치 구멍을 통해 가방 전체를 뒤집어 겉면이 나오게 합니다. 바닥 구멍은 양쪽 시접을 1/4인치 정도 안으로 접어 넣고 직선 탑스티치(또는 손바느질)로 깔끔하게 막습니다.

이제 안감을 본체 안으로 쏙 넣고 상단 단 처리로 ‘보이는 안감 1/4인치 장식 라인’을 만듭니다. 손잡이를 위로 말아 올리지 말고, 오히려 손잡이는 아래로 눕힌 채 안감 원단이 자연스럽게 토트 상단을 살짝 덮도록 굴립니다. 이 방식은 손잡이 부위 벌크를 줄이고 바늘 파손 위험도 낮춰 줍니다.

Hands demonstrating how the floral lining fabric naturally rolls slightly over the gray tote fabric to create a decorative 1/4 inch edge at the top.
The instructor shows how the lining fabric is allowed to roll slightly over the tote's top edge, creating a neat 1/4 inch decorative trim that adds a charming detail to the bag.

장식 스티치는 두 가지 중 선택하세요.

  • 스티치 인 더 딧치: 겉감과 안감 경계의 골에 박아 스티치를 거의 보이지 않게 마감
  • 라인 아래 탑스티치: 안감 라인 바로 아래 1줄을 보여주며 장식 효과 강화

클립으로 상단 둘레를 한 바퀴 고정한 뒤, 선택한 방식으로 천천히 스티치합니다. 손잡이 구간은 특히 속도를 낮추세요.

Hands placing fabric clips along the rolled top edge of the tote and lining, preparing for the final topstitch.
Fabric clips are carefully placed along the entire top edge of the bag, holding the decorative rolled lining in position for the final topstitching.

마지막으로 전체 라운드를 점검합니다. 라인이 일정하게 보이는지, 실 장력 흔들림은 없는지 확인하세요.

A sewing machine creating a topstitch along the decorative rolled edge of the lined tote bag, with hands guiding the fabric.
The sewing machine executes the final topstitch along the top edge of the bag, securing the lining and completing the decorative rolled finish.

간단 체크

  • 바닥 뒤집는 구멍은 깔끔하게 막혔는가?
  • 상단 장식 라인이 일정하게 1/4인치 정도 보이는가?
  • 손잡이 부근의 스티치 밀도·장력이 균일한가?

주의

  • 다림질 단계는 영상에서 매번 명시되지는 않았습니다. 필요 시, 상단 라인을 굴린 뒤 가볍게 눌러 형상을 잡으면 탑스티치가 더 일정해집니다(스팀·온도는 원단에 맞춰 설정).

프로 팁

  • 라인이 살짝 들뜨면, 한 구간씩 클립을 더 촘촘히 배치해 이동량을 줄이세요.
  • 안감 패턴이 있는 경우, 중앙 모티프가 정면에 오도록 상단 라인을 굴릴 때 위치를 미세 조정합니다.

완성 후 관리와 퍼스널라이징

  • 세탁·관리: 영상에서는 구체적인 세탁법을 다루지 않았습니다. 혼방/프린트 원단은 저온 물세탁 후 자연 건조를 권장합니다.
  • 퍼스널라이징: 겉 패널에 자수나 퀼팅을 더하면 존재감이 확 살아납니다. 영상에서는 기계 모델 ‘Baby Lock Solaris 2’ 사용 장면이 보이지만, 모델별 설정은 다를 수 있으니 사용 설명서를 참고하세요.
  • 후프 작업 메모: 영상은 후프 퀼팅 공정을 상세히 다루지 않았습니다. 만약 사전 장식을 추가한다면, 안정제 선택과 후프 체결이 중요합니다. 장식은 완성 전(옆선 봉제 전)에 진행하세요.

댓글에서

  • “퀼팅할 때 안감도 후프에 같이 넣나요?”라는 질문에는, 그렇게 하면 ‘봉제선이 보일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실제로 영상에서는 안감은 별도 제작 후 상단에서 결합하는 흐름을 따릅니다. 취향에 따라 다르지만, 완성 후 내부 봉제선 노출을 최소화하려면 영상의 방법을 권장합니다.
  • “안감이 무지(무방향)면 바닥을 접은 채 두고 옆선에 뒤집는 구멍을 내도 되나요?”라는 질문에는, ‘가방 뒤집기에는 바닥 구멍이 가장 적합하고, 옆선 구멍은 완성 후 더 눈에 띌 수 있다’는 피드백이 있었습니다. 영상 역시 바닥 중앙 10인치 구멍을 유지합니다.

영상에서 쓰지 않았지만 도움이 될 수 있는 도구 노트

  • 자수·퀼팅 커스터마이징을 즐긴다면, 자석식 프레임·후프 시스템이 작업 속도를 높여줄 수 있어요(영상 내 사용 언급은 없음). 예를 들어, 브라더 계열을 쓰는 독자라면 brother 자석 프레임을 검토해 볼 수 있습니다.
  • 바느질 필드가 큰 작업에는 brother hoopnetic magnetic sash 프레임 같은 롱사시 타입이 편리합니다. 단, 내 기종 호환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 자석 후프의 대표격인 mighty hoops는 두꺼운 소재나 가방 패널을 고정할 때 유리하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다만 자력은 강하므로 손가락 끼임에 주의하세요.
  • 브라더 PR 시리즈 사용자라면 mighty hoops for brother pr680w처럼 기종 전용 호환 모델을 선택해야 핏과 위치가 안정적입니다.
  • 가정용 일체형 재봉·자수 기계 사용자라면 재봉·자수 겸용 기계 특성상 액세서리 선택 폭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제조사 가이드를 먼저 확인하세요.
  • 베르니나 계열을 사용한다면 snap hoop monster for bernina 같은 스냅형 자석 후프 옵션을 검토할 수 있으나, 본 영상에는 해당 장비 사용 장면은 없습니다.
  • 바느질 전용으로도 충분히 아름다운 결과가 나오므로, 자수·후프 장비는 ‘선택 사항’임을 기억하세요. 기본은 정확한 치수·시접·정렬입니다.

자주 하는 실수와 해결

  • 뒤집는 구멍을 깜박하고 모두 봉제했어요: 트리머로 중앙 구간을 뜯어 10인치 정도 공간을 확보하세요.
  • 박스 코너가 한쪽만 큽니다: 삼각 펼침 시 옆선이 중앙을 정확히 지나도록 재정렬 후, 양쪽 모두 ‘꼭짓점에서 2인치’를 동일하게 재표시하세요.
  • 상단에서 손잡이가 말려 들어갑니다: 손잡이를 바깥으로 눕혀 클립으로 확실히 고정하고, 봉제 중 구간마다 재확인하세요.

무엇이 이 방법을 특별하게 만드나

  • 벌크 관리: 손잡이를 아래로 눕히고, 안감이 상단을 살짝 덮게 굴려 탑스티치하는 방식은 두꺼운 손잡이 구간에서 바늘 파손 위험을 낮춰 줍니다.
  • 깔끔한 내부: 바닥 구멍 마감 후에는 내부가 말끔하고, 박스 코너 덕분에 바닥이 안정적으로 서며 수납력이 좋아집니다.
  • 데코 포인트: 상단으로 1/4인치 보이는 안감 라인이 장식으로 통일감을 줍니다.

완성 후 관리와 퍼스널라이징

  • 스팀 다림질로 상단 라인을 가볍게 눌러 형태를 잡으면 더욱 프로 같은 마감이 됩니다.
  • 안감 프린트와 겉감 톤을 대비시키면 상단 장식 라인이 멀리서도 살아나요.
  • 선물용이라면 내부에 라벨을 추가해 보세요. 뒤집는 구멍을 막기 전 라벨을 먼저 달아두면 깔끔합니다.

댓글에서 (요약)

  • 퀼팅 시 안감을 함께 후핑하면 봉제선이 보일 수 있다는 의견: 영상은 안감을 따로 만들어 상단 결합하는 방식을 제시합니다.
  • 옆선에 뒤집는 구멍을 낼 경우 시각적으로 더 드러날 수 있다는 의견: 영상과 동일하게 바닥 중앙 구멍을 추천합니다.

마무리 체크리스트

  • [ ] 겉감·안감 옆선이 정확히 일치한다
  • [ ] 박스 코너 양쪽이 2인치로 동일하다
  • [ ] 안감 바닥 10인치 구멍을 깔끔하게 마감했다
  • [ ] 상단 장식 라인이 일정하고 손잡이 부위도 매끈하다
  • [ ] 실밥·표시선(초크)이 남지 않았다

작업을 더 편하게 만드는 장비(선택)

  • 워킹 푸트: 두꺼운 구간 이송을 돕습니다.
  • 패브릭 클립: 핀보다 벌크 구간 고정이 쉬워요.
  • 지워지는 펜/초크: 2인치 박스 코너 표시 필수.

보너스: 도구·액세서리 탐색 가이드

  • 브라더 계열 사용자라면 brother 자수 기계 호환 액세서리를 우선 확인하세요(본 영상은 특정 액세서리 사용을 지정하지 않음).

이제, 측정—재단—옆선—박스 코너—안감—결합—뒤집기—상단 마감까지 한 번에 완주해 보세요. 한 번 익히면 같은 방식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토트에도 응용할 수 있습니다. 즐거운 바느질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