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영상 보기: How to Combine and Scale Embroidery Designs on SmartStitch — All My Ancestors
한 번 결합한 자수 디자인이 왜 크기 조절이 안 되는지, 정확한 해법이 궁금하셨죠? 이 튜토리얼은 고스트 디자인과 텍스트(“BOO!”), 그리고 손그림 요소를 합쳐 하나의 작품으로 만든 뒤, ‘일반 자수 디자인’으로 변환해 스케일을 자유롭게 바꾸는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보여줍니다. 제한을 풀고, 더 크게 혹은 더 작게—여러분의 작업 흐름이 달라질 거예요.

무엇을 배우게 되나요?
- 결합한 디자인이 ‘Not a normal design’으로 표시되는 이유와 의미
- 고스트 디자인 선택, 텍스트 추가, 폰트/간격/크기 조절 요령
- 낙서 도구로 선(“wisps”)을 더해 완성도 높이기
- ‘일반 자수 디자인’으로 변환하는 메뉴 접근과 저장 흐름
- 변환 후 스케일 업(예: 110%)과 다운(예: 100%) 실습
SmartStitch에서의 디자인 한계 이해 결합한 디자인을 불러온 뒤 크기를 바꾸려고 하면, 화면에 ‘Not a normal design’이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이 상태에서는 스케일은 물론 일부 편집 기능이 잠겨 있죠. 바로 이 지점이 오늘 튜토리얼의 핵심 문제 정의입니다.

간단 체크
- 결합 직후 스케일 메뉴에 진입했을 때, ‘Not a normal design’ 경고가 뜨는지 확인하세요.
- 메시지가 보이면 당황하지 말고, 오늘 배울 ‘전환’ 단계를 준비하면 됩니다.
나만의 결합 디자인 만들기 베이스 디자인 선택하기 먼저 라이브러리에서 고스트 디자인을 선택합니다. 화면 이동 거리가 1.0mm로 설정되어 있을 때, 방향 버튼이나 스타일러스로 위치를 조정해 캔버스에서 원하는 자리에 배치하세요. 영상에서는 고스트를 화면의 하단 쪽으로 옮겨 작업 공간을 확보했습니다.

주의 - 잘못된 디자인을 불러왔거나 위치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되돌리기 혹은 방향 이동으로 재배치하세요.

텍스트 추가 및 커스터마이즈(예: ‘BOO!’) 이제 알파벳 입력 인터페이스로 들어가 ‘BOO!’(느낌표 포함)를 입력합니다. 오타 없이 확정한 뒤, 텍스트를 고스트 위쪽으로 이동해 구도를 잡습니다.

텍스트의 크기와 폭, 글자 간격을 조정하며 화면에서 시각적 균형을 맞춥니다. 필요하면 폰트도 바꿔보세요. 영상에서는 텍스트를 더 키우고, 폭도 늘린 뒤 간격을 조금 더 띄웠습니다.

프로 팁 - 폰트는 디자인의 ‘테마’와 직결됩니다. 고스트의 귀여움/오싹함에 맞춰 둥근체나 각진체를 선택해 보세요.

개별 글자에 서로 다른 색상을 지정해 색상 변주를 줄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나중에 특정 글자만 다른 실로 강조하기 쉬워집니다.

간단 체크
- 텍스트가 고스트와 시각적 중심을 다투지 않는지 확인하세요.
- 글자 간격이 너무 좁으면 자수 시 스티치가 뭉칠 수 있으니 화면에서 가독성을 점검합니다.

낙서 요소로 디테일 더하기 초기 결합 디자인(고스트+텍스트)을 저장했다면, 이제 ‘낙서 도구’로 wisps(휘어지는 얇은 선)를 그려 분위기를 더해봅니다. 스타일러스의 탄성을 활용해 선의 시작과 끝을 가볍게 풀어주면 질감이 살아납니다. 선이 과해 보이면 되돌리기로 정리하세요.

주의
- 선이 너무 촘촘하면 실제 자수에서 두꺼워져 질감이 무거워질 수 있습니다.
- 기존 요소(고스트, 텍스트)와 겹칠 때는 화면 이동 값을 1.0mm로 유지하고, 적절히 간격을 둬 스티치가 포개지지 않도록 합니다.
핵심 단계: ‘일반 자수 디자인’으로 변환 초기 결합 디자인 저장하기 낙서 요소까지 포함했다면, 다시 저장을 실행하세요. 프롬프트가 ‘Create New Design(새 디자인 생성)’을 묻습니다. 새 번호가 할당되면, 모든 요소가 포함된 ‘결합 디자인(전환 전)’이 하나 생깁니다.

고급 메뉴 접근하기 이제 디자인을 선택한 상태에서 화면의 점 세 개(three dots) 메뉴로 들어갑니다. 이 서브메뉴 안에서 전환 기능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Change combined design to normal emb. design’ 기능 사용하기 메뉴의 6번 항목 ‘Change combined design to normal emb. design(결합 디자인을 일반 자수 디자인으로 변경)’을 탭하세요. 새 디자인 번호를 할당하면, 방금까지의 결합물이 한 덩어리의 ‘일반 자수 디자인’으로 변환됩니다. 이 순간부터 스케일 편집이 전면 개방됩니다.

프로 팁
- 전환 전과 전환 후 디자인을 각각 저장해 두면, 비교/롤백이 쉬워집니다. 버전 네이밍을 날짜/스케일값으로 통일해두면 검색성이 좋아집니다. 예: BOO_2024-11-01_X110Y110
스케일 자유화 실전 디자인 키우기(예: X=110, Y=110) 전환된 디자인을 선택하고 스케일 메뉴로 들어갑니다. X와 Y 값을 각각 110으로 지정하면, 화면 프리뷰에서 즉시 확대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장’으로 상태를 기록해 두세요.

주의
- 확대 시 스티치 밀도가 물리적으로 달라지진 않습니다. 특정 기계/실/원단 조합에서 결과가 다를 수 있으므로, 테스트 스와치를 권장합니다.
디자인 줄이기(예: X=100, Y=100) 다시 스케일 메뉴로 돌아가 X와 Y 값을 100으로 되돌리면, 원래 크기 혹은 작은 비율로 축소됩니다. 화면에서 즉각적인 변화가 보이고, 최종 저장으로 작업을 마무리합니다.

간단 체크
- 스케일 전환 뒤 중심 정렬(center) 기능으로 위치를 한 번 점검하세요.
- 프리뷰와 최종 스티치아웃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하려면, 재봉틀/자수틀 장력과 원단 보강재를 상황에 맞게 조정하세요.

SmartStitch 작업 흐름 팁
- 저장의 타이밍: 텍스트 커스터마이즈 후 1회, 낙서 요소 추가 후 1회, 전환 후 1회—최소 3단 저장을 습관화하세요. 이렇게 하면 언제든지 가장 안정적인 버전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여기서 ‘버전 쌓기’는 다양한 자수틀/원단 조합을 테스트할 때도 유용합니다. 예컨대 사용자 커뮤니티에서는 smartstitch 자수틀 선택에 따라 고정 안정성이 달라진다고 팁을 공유하기도 하죠.
- 간격 조절: 글자 간격을 넓히면 스티치 겹침이 줄고, 이너 코너의 장식 스티치가 깨끗하게 살아납니다. 다만 과도한 간격은 메시지 가독성을 낮출 수 있으니 화면에서 ‘한눈에 읽히는가’를 우선 확인하세요.
- 색상 분리: 문자별 다른 색상을 지정하면, 실 교체 타이밍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작업 시간 관리가 중요하다면 색상 통일 후 마지막에 포인트만 바꾸는 방식도 고려하세요. 대체로 초보 단계에서는 한두 색으로 시작해 리스크를 줄이는 편이 좋습니다. 이때 다양한 자석 프레임에 관심 있는 분들이 많아, 커뮤니티에선 dime snap hoop 같은 부속 키워드가 자주 언급됩니다.
주의
- 이 글과 영상은 SmartStitch 인터페이스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타 브랜드/모델에서 동일한 메뉴 구조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다만 전반적인 논리는 ‘결합→저장→전환→스케일’로 유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는 모자 작업에 관심이 많아 smartstitch 모자 자수틀을 찾지만, 본 튜토리얼에는 모자틀 세팅이나 실제 스티치아웃 과정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댓글에서
- “S1201 모델에서 파일 결합 옵션을 찾을 수 없다”는 질문이 있었습니다. 본 영상에서는 SmartStitch 환경에서의 결합/전환 과정을 다루며, S1201 전용의 결합 메뉴 위치나 유무는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기종별로 메뉴 명칭과 위치가 다를 수 있으니, 해당 모델의 사용자 설명서나 공식 지원 채널을 확인해 보세요. 커뮤니티에서는 범용 자수틀 호환 정보를 묻는 글도 많은데, 예컨대 mighty hoop for smartstitch 사용 경험담처럼 브랜드별 부속으로 작업 난이도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자주 겪는 문제 해결 Q. 결합 디자인의 크기가 바뀌지 않아요. A. 결합 상태 그대로는 ‘Not a normal design’이 떠서 스케일이 잠깁니다. three dots 메뉴→6번 ‘Change combined design to normal emb. design’을 실행해 전환 후 스케일 값을 조정하세요.
Q. 텍스트가 고스트 위에 잘 올라오지 않아요. A. 방향 이동 값을 1.0mm로 두고, 텍스트 선택 상태에서 미세 이동하세요. 글자 간격이 좁다면 먼저 간격을 넓힌 뒤 위치를 잡으면 겹침이 줄어듭니다.
Q. 낙서 선이 지저분해 보여요. A. 되돌리기로 과한 부분을 지우고, 선의 시작/끝에 압을 최소화해 흐름을 자연스럽게 만드세요. 필요한 경우 색상을 약하게 두어 보조 요소로 배치합니다.
Q. 전환 후에도 색상 변경이 가능한가요? A. 영상에 따르면 전환 이후에도 스케일 변경이 자유롭고, 색상 역시 편집 단계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실제 스티치아웃 시의 결과는 원단/실/장력에 따라 차이가 나므로, 작은 샘플로 먼저 테스트하세요. 커뮤니티에서는 다른 브랜드의 자석 프레임 이야기도 자주 오가는데, babylock 자수틀이나 brother 자석 프레임 같은 키워드로 팁을 찾는 분들이 많습니다.
Q. 다른 브랜드 프레임이나 자석틀과의 호환을 어떻게 파악하나요? A. 본 영상에서는 호환성 표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모델별 공식 호환 표를 확인하고, 사용자 리뷰를 참조하세요. 예시로, 일부는 smartstitch s1501 같은 모델명을 기준으로 검색해 정보를 모읍니다. 또한 자석 기반 부속에 관심이 있다면, ‘프레임 장력’과 ‘원단 미끄럼’ 이슈를 미리 점검하세요.
마무리 오늘의 포인트는 ‘전환’입니다. 결합→저장→전환(일반 자수 디자인)→스케일 조절이라는 흐름을 기억하면, 여러 요소를 하나로 묶은 뒤에도 자유롭게 크기를 바꿀 수 있습니다. 텍스트의 폰트/간격/색상, 낙서 선의 강약, 저장 시점의 버전 관리까지—이 모든 디테일이 모여 결과물을 한 단계 끌어올립니다. 필요할 땐 주저하지 말고 작은 테스트 스티치로 확인하세요. 마지막으로, 주변 기종이나 부속에 대한 정보 탐색 시에는 제조사 매뉴얼과 커뮤니티 경험담을 함께 참고하면 좋습니다. 작업 책상 위에는 여러분의 다음 ‘전환’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